레위기 12장

레위기 12장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출산 후 지켜야 할 정결 규례에 대해 설명합니다. 여성의 출산 이후 그 신체적, 사회적, 종교적 상태를 다루며, 정해진 기간과 제사를 통해 공동체 안에서의 정결한 삶을 유지하는 의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1절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2절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여인이 잉태하여 남자를 낳으면 그는 칠 일 동안 부정하리니 곧 경도할 때와 같이 부정할 것이며
3절제 팔 일에는 그 아이의 양피를 벨 것이요
4절그 여인은 오히려 삼십삼 일을 지나야 산혈이 깨끗하리니 정결케 되는 기한이 차기 전에는 성물을 만지지도 말며 성소에 들어가지도 말 것이며
5절여자를 낳으면 그는 이 칠 일 동안 부정하리니 경도할 때와 같을 것이며 산혈이 깨끗하게 됨은 육십육 일을 지나야 하리라
6절자녀간 정결케 되는 기한이 차거든 그 여인은 번제를 위하여 일 년 된 어린 양을 취하고 속죄제를 위하여 집비둘기 새끼나 산비둘기를 취하여 회막문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7절제사장은 그것을 여호와 앞에 드려서 여인을 위하여 속죄할지니 그리하면 산혈이 깨끗하리라 이는 자녀간 생산한 여인에게 대한 규례니라
8절그 여인의 힘이 어린 양에 미치지 못하거든 산비둘기 둘이나 집비둘기 새끼 둘을 가져다가 하나는 번제물로, 하나는 속죄제물로 삼을 것이요 제사장은 그를 위하여 속할지니 그가 정결하리라
구조와 흐름
- 1-2절: 여인이 아들을 낳았을 때의 정결 기간(7일간 불결함, 33일간의 정결 기간)
- 3절: 남아의 할례 시행
- 4절: 정결 기간이 끝날 때까지의 규례
- 5절: 딸을 낳았을 때의 정결 기간(14일간 불결함, 66일간의 정결 기간)
- 6-8절: 정결 의식을 위한 번제와 속죄제 규정(제물의 종류와 예외 규정 포함)
본문의 의미
이 장은 단순히 출산 후의 위생이나 사회적 문제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죄와 불결로부터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이르는 과정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출산과 생명의 탄생조차 여러 단계의 정결 과정을 거쳐야 했다는 점에서, 인간의 연약함과 하나님의 거룩하심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또한 제사의 제도, 특수 상황에 따른 배려(가난한 자를 위한 산비둘기/집비둘기 제물 허용) 등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가 함께 드러납니다.
묵상포인트
- 우리의 일상과 인생의 중요한 순간까지도 하나님께 드려지고 정결하게 살아야 함을 상기합니다.
- 하나님이 정결함을 요구하는 이유와 그 은혜로운 배려(제사의 다양성, 접근의 용이함)를 묵상해봅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오늘 내가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바라보며 내 삶의 영역 가운데 정결을 어떻게 지키고 있는지 점검해 봅니다.
- 누구나 하나님의 은혜로 나아갈 수 있도록 배려하신 사랑을 이웃에게도 실천하고 있는지 생각해 봅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