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서 47장

이사야서 47장은 바벨론의 멸망을 예언하는 내용으로 중심을 이룹니다. 이 장은 고대 세계에서 강대국이자 권세의 상징이었던 바벨론이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무너지는 모습을 그림처럼 펼쳐 보여줍니다. 화려한 영광을 누리던 바벨론이 어디까지 몰락하는지를 통해, 교만과 불의가 가져오는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을 강조합니다.
1절처녀 딸 바벨론이여 내려 티끌에 앉으라 딸 갈대아여 보좌가 없어졌으니 땅에 앉으라 네가 다시는 곱고 아리땁다 칭함을 받지 못할 것임이니라
2절맷돌을 취하여 가루를 갈라 면박을 벗으며 치마를 걷어 다리를 드러내고 강을 건너라
3절네 살이 드러나고 네 부끄러운 것이 보일 것이라 내가 보수하되 사람을 아끼지 아니하리라
4절(우리의 구속자는 그 이름이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거룩한 자시니라)
5절딸 갈대아여 잠잠히 앉으라 흑암으로 들어가라 네가 다시는 열국의 주모라 칭함을 받지 못하리라
6절전에 내가 내 백성을 노함으로 내 기업을 욕되게 하여 그들을 네 손에 붙였거늘 네가 그들을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고 늙은이에게 네 멍에를 심히 무겁게 메우며
7절말하기를 내가 영영히 주모가 되리라 하고 이 일을 네 마음에 두지도 아니하며 그 종말도 생각지 아니하였도다
8절그러므로 사치하고 평안히 지내며 마음에 이르기를 나뿐이라 나 외에 다른 이가 없도다 나는 과부로 지내지도 아니하며 자녀를 잃어버리는 일도 모르리라 하는 자여 너는 이제 들을지어다
9절한 날에 홀연히 자녀를 잃으며 과부가 되는 이 두 일이 네게 임할 것이라 네가 무수한 사술과 많은 진언을 베풀지라도 이 일이 온전히 네게 임하리라
10절네가 네 악을 의지하고 스스로 이르기를 나를 보는 자가 없다 하나니 네 지혜와 네 지식이 너를 유혹하였음이니라 네 마음에 이르기를 나뿐이라 나 외에 다른 이가 없다 하였으므로
11절재앙이 네게 임하리라 그러나 네가 그 근본을 알지 못할 것이며 손해가 네게 이르리라 그러나 이를 물리칠 능이 없을 것이며 파멸이 홀연히 네게 임하리라 그러나 네가 헤아리지 못할 것이니라
12절이제 너는 젊어서부터 힘쓰던 진언과 많은 사술을 가지고 서서 시험하여 보라 혹시 유익을 얻을 수 있을는지, 혹시 원수를 이길 수 있을는지,
13절네가 많은 모략을 인하여 피곤케 되었도다 하늘을 살피는 자와 별을 보는 자와 월삭에 예고하는 자들로 일어나 네게 임할 그 일에서 너를 구원케 하여 보라
14절보라 그들은 초개 같아서 불에 타리니 그 불꽃의 세력에서 스스로 구원치 못할 것이라 이 불은 더웁게 할 숯불이 아니요 그 앞에 앉을 만한 불도 아니니라
15절너의 근로하던 것들이 네게 이같이 되리니 너 어려서부터 너와 함께 무역하던 자들이 각기 소향대로 유리하고 너를 구원할 자 없으리라
구조와 흐름
- 47:1-3 – 굴욕의 시작: 바벨론이 '처녀 딸'로 묘사되며, 권세의 자리에서 내려오고 천한 일(맷돌질)을 하게 될 것을 예언합니다. 이는 권세의 몰락과 수치를 상징합니다.
- 47:4 – 하나님의 자기선언: 심판의 주체가 누구인지 분명히 밝힙니다. 하나님이 유일하고 거룩하신 이심을 강조합니다.
- 47:5-7 – 무정함에 대한 심판: 바벨론의 잔인함과 자비 없는 태도를 언급하며, 그들이 영원히 여왕좌에 있을 것이라 확신한 교만함을 지적합니다.
- 47:8-11 – 자기확신의 헛됨: 바벨론이 자신들의 번영이 영원할 것이라 여기며 안일하게 행한 결과, 하루아침에 재앙이 닥쳐올 것을 경고합니다.
- 47:12-15 – 헛된 의지의 결과: 별점, 마술 등 바벨론이 의지하던 것들이 아무 힘도 되지 못함을 선언하며, 궁극적으로는 무력해질 것을 보여줍니다.
전체적인 의미와 교훈
이 장은 인간 권세와 세상 영광이 영원하지 않음을 분명하게 가르칩니다. 하나님이 미워하시는 교만, 타인을 억압하는 태도, 그리고 세상의 헛된 힘에 의지하는 삶의 한계를 드러냅니다. 영원한 주권자이신 하나님만이 참된 통치자임을 강조하며, 이스라엘 백성과 모든 인류에게 하나님의 정의와 공의를 묵상하게 합니다.
묵상포인트
- 나는 내 삶의 안락함이나 성취에 안주하며 교만한 마음을 품고 있지 않은지?
- 세상의 힘, 지식, 경험에 의지하기보다 하나님을 진정한 주인으로 믿고 있는가?
- 힘이 약한 이웃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무정하거나 그들을 억압하는 태도는 없는가?
나에게 적용해보기
- 하루하루 겸손하게 살아가며, 내 삶과 선택 가운데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시간을 가지세요.
- 누군가 위에 서기보다는, 함께 걷고 섬기는 자세로 이웃을 대하려 노력합시다.
- 어려움이나 두려움 앞에서 세상의 방법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 무릎 꿇고 지혜와 인도를 구해보세요.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