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5장

창세기 5장은 아담으로부터 노아까지의 족보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장은 반복적인 표현(어떤 사람이 몇 세에 아들을 낳고, 얼마를 살고, 아들딸을 낳았고, 몇 세에 죽었더라)로 구성되어 있어, 인류의 계보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담의 창조(1절), 인류의 번성(2절), 아담부터 노아까지 열 명의 족보(3~32절)로 이어지며, 각 인물마다 삶과 죽음을 반복적으로 언급하되, 에녹만은 "하나님과 동행하다가 사라졌다"고 기록되어 있어 특이함을 보여줍니다.
1절아담 자손의 계보가 이러하니라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실 때에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시되
2절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고 그들이 창조되던 날에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고 그들의 이름을 사람이라 일컬으셨더라
3절아담이 일백삼십 세에 자기 모양 곧 자기 형상과 같은 아들을 낳아 이름을 셋이라 하였고
4절아담이 셋을 낳은 후 팔백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5절그가 구백삼십 세를 향수하고 죽었더라
6절셋은 일백오 세에 에노스를 낳았고
7절에노스를 낳은 후 팔백칠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8절그가 구백십이 세를 향수하고 죽었더라
9절에노스는 구십 세에 게난을 낳았고
10절게난을 낳은 후 팔백십오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11절그가 구백오 세를 향수하고 죽었더라
12절게난은 칠십 세에 마할랄렐을 낳았고
13절마할랄렐을 낳은 후 팔백사십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14절그가 구백십 세를 향수하고 죽었더라
15절마할랄렐은 육십오 세에 야렛을 낳았고
16절야렛을 낳은 후 팔백삼십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17절그가 팔백 구십오 세를 향수하고 죽었더라
18절야렛은 일백육십이 세에 에녹을 낳았고
19절에녹을 낳은 후 팔백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20절그가 구백 육십이 세를 향수하고 죽었더라
21절에녹은 육십오 세에 므두셀라를 낳았고
22절므드셀라를 낳은 후 삼백 년을 하나님과 동행하며 자녀를 낳았으며
23절그가 삼백육십오 세를 향수하였더라
24절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더니 하나님이 그를 데려가시므로 세상에 있지 아니하였더라
25절므두셀라는 일백팔십칠 세에 라멕을 낳았고
26절라멕을 낳은 후 칠백팔십이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27절그는 구백육십구 세를 향수하고 죽었더라
28절라멕은 일백팔십이 세에 아들을 낳고
29절이름을 노아라 하여 가로되 여호와께서 땅을 저주하시므로 수고로이 일하는 우리를 이 아들이 안위하리라 하였더라
30절라멕이 노아를 낳은 후 오백구십오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31절그는 칠백칠십칠 세를 향수하고 죽었더라
32절노아가 오백 세 된 후에 셈과 함과 야벳을 낳았더라
생명의 연속성과 인간의 삶
이 장은 각 인물이 누구에게서 태어났고, 또 누구를 낳았는지, 몇 년을 살았는지에 집중함으로써, 인류 역사의 연속성을 강조합니다. 삶과 죽음이 반복되는 이 계보 속에서, 사람의 수명이 매우 길게 나오지만, 결국 모두가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인간의 한계를 보여줍니다.
에녹의 특이성과 하나님의 동행
족보의 반복적 구조 속에서, 에녹만이 하나님과 동행하였다라는 특별한 평가를 받으며 죽음을 언급하지 않고 하늘로 옮겨지는 모습이 나옵니다(22~24절). 이는 인간이 하나님과 동행할 때 얻을 수 있는 특별한 삶의 모습을 시사합니다.
노아로 이어지는 희망의 계보
이 장의 마지막은 노아로 이어지며, 노아가 등장함으로써 이후의 새로운 인류의 시작과 하나님의 구속 역사로 나아갈 준비를 마칩니다. 노아의 이름에는 ‘위로하리라’는 의미가 담겨 있으면서, 하나님의 계획 안에서 인류에게 새로운 희망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묵상포인트
- 반복되는 족보 속에서 삶과 죽음, 연속성에 대해 묵상해 볼 수 있습니다.
- 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했다는 점이 삶에서 어떤 의미인지 곱씹어 보시기 바랍니다.
- 각 시대마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어떻게 이어지고 펼쳐지는지 살펴보세요.
나에게 적용해보기
-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이 내 일상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을지 고민해보세요.
- 삶과 죽음, 인생의 연속성 속에서 나에게 주어진 하루의 가치와 의미를 생각해보세요.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