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40장

창세기 40장은 요셉이 감옥에서 술 맡은 관원장과 떡 굽는 관원장을 만나게 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장은 총 23절로, 두 관원장이 죄를 지은 후 애굽 왕 바로의 노여움으로 감옥에 갇힌 상황에서 시작합니다. 요셉은 두 관원장을 돌보는 임무를 맡고, 둘은 각자 꿈을 꾸게 되고, 요셉은 그들의 꿈을 해석합니다. 꿈의 해석대로 술 맡은 관원장은 복직되고, 떡 굽는 관원장은 처형됩니다. 마지막 절에서는 복직된 술 맡은 관원장이 요셉을 기억하지 못했다는 사실로 마무리됩니다.
1절그 후에 애굽 왕의 술 맡은 자와 떡 굽는 자가 그 주 애굽 왕에게 범죄한지라
2절바로가 그 두 관원장 곧 술 맡은 관원장과 떡 굽는 관원장에게 노하여
3절그들을 시위대장의 집 안에 있는 옥에 가두니 곧 요셉의 갇힌 곳이라
4절시위대장이 요셉으로 그들에게 수종하게 하매 요셉이 그들을 섬겼더라 그들이 갇힌 지 수일이라
5절옥에 갇힌 애굽 왕의 술 맡은 자와 떡 굽는 자 두 사람이 하룻밤에 꿈을 꾸니 각기 몽조가 다르더라
6절아침에 요셉이 들어가 보니 그들에게 근심 빛이 있는지라
7절요셉이 그 주인의 집에 자기와 함께 갇힌 바로의 관원장에게 묻되 당신들이 오늘 어찌하여 근심 빛이 있나이까
8절그들이 그에게 이르되 우리가 꿈을 꾸었으나 이를 해석할 자가 없도다 요셉이 그들에게 이르되 해석은 하나님께 있지 아니하니이까 청컨대 내게 고하소서
9절술 맡은 관원장이 그 꿈을 요셉에게 말하여 가로되 내가 꿈에 보니 내 앞에 포도나무가 있는데
10절그 나무에 세 가지가 있고 싹이 나서 꽃이 피고 포도송이가 익었고
11절내 손에 바로의 잔이 있기로 내가 포도를 따서 그 즙을 바로의 잔에 짜서 그 잔을 바로의 손에 드렸노라
12절요셉이 그에게 이르되 그 해석이 이러하니 세 가지는 사흘이라
13절지금부터 사흘 안에 바로가 당신의 머리를 들고 당신의 전직을 회복하리니 당신이 이왕에 술 맡은 자가 되었을 때에 하던 것같이 바로의 잔을 그 손에 받들게 되리이다
14절당신이 득의하거든 나를 생각하고 내게 은혜를 베풀어서 내 사정을 바로에게 고하여 이 집에서 나를 건져내소서
15절나는 히브리 땅에서 끌려온 자요 여기서도 옥에 갇힐 일은 행치 아니하였나이다
16절떡 굽는 관원장이 그 해석이 길함을 보고 요셉에게 이르되 나도 꿈에 보니 흰 떡 세 광주리가 내 머리에 있고
17절그 윗광주리에 바로를 위하여 만든 각종 구운 식물이 있는데 새들이 내 머리의 광주리에서 그것을 먹더라
18절요셉이 대답하여 가로되 그 해석은 이러하니 세 광주리는 사흘이라
19절지금부터 사흘 안에 바로가 당신의 머리를 끊고 당신을 나무에 달리니 새들이 당신의 고기를 뜯어 먹으리이다 하더니
20절제 삼 일은 바로의 탄일이라 바로가 모든 신하를 위하여 잔치할 때에 술 맡은 관원장과 떡 굽는 관원장으로 머리를 그 신하 중에 들게 하니라
21절바로의 술 맡은 관원장은 전직을 회복하매 그가 잔을 바로의 손에 받들어 드렸고
22절떡 굽는 관원장은 매여 달리니 요셉이 그들에게 해석함과 같이 되었으나
23절술 맡은 관원장이 요셉을 기억지 않고 잊었더라
구조와 주요 내용
- 1~4절: 바로의 두 신하가 감옥에 갇힘
- 5~8절: 두 신하가 꿈을 꾸고 근심함
- 9~19절: 요셉이 두 신하의 꿈을 해석함
- 20~22절: 꿈대로 현실에서 이루어짐
- 23절: 술 맡은 관원장이 요셉을 기억하지 못함
장 전체의 의미와 교훈
이 장은 요셉의 인생 여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는 장면입니다. 요셉은 불공평하게 감옥에 갇혔지만, 그곳에서조차 자신의 책임을 다하고, 하나님의 주권 안에서 선한 일을 이어갑니다. 또 꿈의 해석을 하나님께 속한 일임을 밝힘으로써 자신의 지혜가 아니라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신뢰함을 보여 줍니다. 관원장의 꿈 해몽과 성취는 요셉의 미래를 향한 하나님의 섭리가 점진적으로 펼쳐지고 있음을 알려줍니다.
묵상포인트
- 요셉처럼 예상치 못한 상황 가운데서도 자신의 자리에서 충실함을 지키는 태도를 생각해 봅니다.
- 하나님의 시간표와 섭리는 인간의 즉각적인 기대와 다를 수 있음을 배웁니다.
- 하나님의 계획은 때로 시간이 걸리나 반드시 이루어짐을 신뢰하는 자세를 묵상할 수 있습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내가 현재 맡은 자리에서 맡겨진 일을 성실하게 하고 있는지 돌아봅니다.
- 혹시 응답이 지체되는 일에도 하나님의 일하심을 신뢰할 수 있을지 점검해 봅니다.
- 세상의 인정이나 기억에 앞서 하나님 앞에서 살아가는 태도를 갖기로 다짐합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