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하 4장

사무엘하 4장은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의 죽음과 바통을 넘겨받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약함, 슬픔, 그리고 하나님의 뜻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주는 장입니다. 이 장은 사울 왕가의 마지막 붕괴와 다윗 왕조로의 전환을 조명합니다.
1절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이 아브넬의 헤브론에서 죽었다 함을 듣고 손 맥이 풀렸고 온 이스라엘이 놀라니라
2절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에게 군장 두 사람이 있으니 하나의 이름은 바아나요 하나의 이름은 레갑이라 베냐민 족속 브에롯 사람 림몬의 아들들이더라 브에롯도 베냐민 지파에 속하였으니
3절일찍 브에롯 사람들이 깃다임으로 도망하여 오늘까지 거기 우거함이더라
4절사울의 아들 요나단에게 절뚝발이 아들 하나가 있으니 이름은 므비보셋이라 전에 사울과 요나단의 죽은 소식이 이스르엘에서 올 때에 그 나이 다섯 살이었는데 그 유모가 안고 도망하더니 급히 도망하므로 아이가 떨어져 절게 되었더라
5절브에롯 사람 림몬의 아들 레갑과 바아나가 행하여 볕이 쬘 때 즈음에 이스보셋의 집에 이르니 마침 저가 낮잠을 자는지라
6절레갑과 그 형제 바아나가 밀을 가지러 온 체하고 집 가운데로 들어가서 그 배를 찌르고 도망하였더라
7절저희가 집에 들어가니 이스보셋이 침실에서 상 위에 누웠는지라 저를 쳐죽이고 목을 베어 그 머리를 가지고 밤새도록 아라바 길로 행하여
8절헤브론에 이르러 다윗 왕에게 이스보셋의 머리를 드리며 고하되 왕의 생명을 해하려 하던 원수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의 머리가 여기 있나이다 여호와께서 오늘 우리 주 되신 왕의 원수를 사울과 그 자손에게 갚으셨나이다
9절다윗이 브에롯 사람 림몬의 아들 레갑과 그 형제 바아나에게 대답하여 가로되 내 생명을 여러 환난 가운데서 건지신 여호와의 사심을 가리켜 맹세하노니
10절전에 사람이 내게 고하기를 사울이 죽었다 하며 좋은 소식을 전하는 줄로 생각하였어도 내가 저를 잡아 시글락에서 죽여서 그것으로 그 기별의 갚음을 삼았거든
11절하물며 악인이 의인을 그 집 침상 위에서 죽인 것이겠느냐 그런즉 내가 저의 피 흘린 죄를 너희에게 갚아서 너희를 이 땅에서 없이 하지 아니하겠느냐 하고
12절소년들을 명하매 곧 저희를 죽이고 수족을 베어 헤브론 못가에 매어달고 이스보셋의 머리를 가져다가 헤브론에서 아브넬의 무덤에 장사하였더라
주요 내용의 흐름
- 베냐민 집안의 약화: 사울 왕의 아들 이스-보셋이 리합과 바아나 형제에 의해 살해되면서, 사울 집안의 잔존 세력은 결정적으로 무너집니다.
- 다윗 앞에 선 악의 동기: 암몬 사람 리합과 바아나는 이스-보셋을 죽인 공을 다윗에게 인정받으려고 그 머리를 가져갑니다. 그러나 다윗은 사울의 죽음때와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기름부음 받은 자를 자신의 뜻대로 해치는 것이 옳지 않다고 판단합니다.
- 하나님의 섭리: 인간의 불완전하고 자기중심적인 방법으로 뜻을 이루려 해도, 하나님의 의로우신 손길이 역사를 이끌어감이 드러납니다.
본문의 구조와 의미
- 서두(1-4절): 사울의 가족 세력 실종(이스-보셋, 므비보셋의 등장 배경), 이스라엘의 두려움 묘사.
- 전개(5-8절): 리합과 바아나가 이스-보셋에게 접근, 살해 및 범죄 동기 표현.
- 결말(9-12절): 다윗의 반응. 자신이 원하지 않은 방법으로 왕위를 얻는 것을 거부하며, 두 사람을 처벌함.
이 구조 안에서 다윗이 보여주는 태도와 신정 중심의 역사관이 큰 주제로 드러납니다.
묵상포인트
- 하나님의 계획을 사람의 방식이나 계산으로 앞서 나갈 때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와 잘못을 성찰해 봅니다.
- 의로운 동기와 행동의 중요성, 악한 방법으론 선한 결과가 설 수 없음을 마음에 새길 수 있습니다.
- 하나님의 일하심을 기다리는 신뢰와 겸손이 우리 삶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돌아볼 수 있습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어려운 상황에서 급하게 내 방식을 관철시키려 하거나, 이유가 정당하다고 생각해도 그 과정이 온전한지 점검해 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 내 삶의 결정 앞에서 하나님의 뜻과 공의를 구하며, 조급함 대신 인내와 신뢰로 기다릴 수 있는 믿음을 적용해 봅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