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열왕기하 16장

말씀 개요

열왕기하 16장은 남유다 왕 아하스의 통치와 그의 행적에 관해 다룹니다. 본문은 아하스 왕이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한 사실, 북이스라엘과 아람의 침공, 그리고 아하스가 앗수르에 도움을 구하며 이방신의 제단 양식을 들여오는 과정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장은 남유다 역사에서 신앙의 변질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서술하고 있습니다.

1르말랴의 아들 베가 십칠 년에 유다 왕 요담의 아들 아하스가 왕이 되니

2아하스가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이십 세라 예루살렘에서 십육 년을 치리하였으나 그 조상 다윗과 같지 아니하여 그 하나님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치 아니하고

3이스라엘 열왕의 길로 행하며 또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쫓아내신 이방 사람의 가증한 일을 본받아 자기 아들을 불 가운데로 지나가게 하며

4또 산당과 작은 산 위와 모든 푸른 나무 아래서 제사를 드리며 분향하였더라

5이 때에 아람 왕 르신과 이스라엘 왕 르말랴의 아들 베가가 예루살렘에 올라와서 싸우려 하여 아하스를 에워쌌으나 이기지 못하니라

6당시에 아람 왕 르신이 엘랏을 회복하여 아람에 돌리고 유다 사람을 엘랏에서 쫓아내었고 아람 사람이 엘랏에 이르러 거하여 오늘날까지 이르렀더라

7아하스가 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에게 사자를 보내어 이르되 나는 왕의 신복이요 왕의 아들이라 이제 아람 왕과 이스라엘 왕이 나를 치니 청컨대 올라와서 나를 그 손에서 구원하소서 하고

8여호와의 전과 왕궁 곳간에 있는 은금을 취하여 앗수르 왕에게 예물로 보내었더니

9앗수르 왕이 그 청을 듣고 곧 올라와서 다메섹을 쳐서 취하여 그 백성을 사로잡아 길로 옮기고 또 르신을 죽였더라

10아하스 왕이 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을 만나러 다메섹에 갔다가 거기 있는 단을 보고 드디어 그 구조와 제도의 식양을 그려 제사장 우리야에게 보내었더니

11아하스 왕이 다메섹에서 돌아오기 전에 제사장 우리야가 아하스 왕이 다메섹에서 보낸 모든 것대로 단을 만든지라

12왕이 다메섹에서 돌아와서 단을 보고 단 앞에 나아가 그 위에 제사를 드리되

13자기의 번제와 소제를 불사르고 또 전제를 붓고 수은제 짐승의 피를 단에 뿌리고

14또 여호와의 앞 곧 전 앞에 있던 놋단을 옮기되 새 단과 여호와의 전 사이에서 옮겨다가 그 단 북편에 두니라

15아하스 왕이 제사장 우리야에게 명하여 가로되 아침 번제와 저녁 소제와 왕의 번제와 그 소제와 모든 국민의 번제와 그 소제와 전제를 다 이 큰 단 위에 불사르고 또 번제물의 피와 다른 제물의 피를 다 그 위에 뿌리고 오직 놋단은 나의 물을 일에 쓰게 하라 하매

16제사장 우리야가 아하스 왕의 모든 명대로 행하였더라

17아하스 왕이 물두멍 받침의 옆판을 떼어내고 물두멍을 그 자리에서 옮기고 또 놋바다를 놋소 위에서 내려다가 돌판 위에 두며

18또 안식일에 쓰기 위하여 성전에 건축한 낭실과 왕이 밖에서 들어가는 낭실을 앗수르 왕을 인하여 여호와의 전에 옮겨 세웠더라

19아하스의 그 남은 사적은 유다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20아하스가 그 열조와 함께 자매 다윗 성에 그 열조와 함께 장사되고 그 아들 히스기야가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본문 흐름과 구조

  • 아하스 왕의 즉위와 평가(1-4절): 남유다의 12대 왕 아하스가 즉위하며, 그의 아버지와는 달리 여호와 앞에서 악을 행했다고 평가합니다. 특히 이방 신들을 따르고 심지어 자식을 불에 태우는 풍속까지 행합니다.
  • 국가적 위기와 정치적 선택(5-9절): 아람과 북이스라엘이 예루살렘을 에워싸지만 점령하지 못합니다. 아하스는 이 위기를 해결하고자 앗수르 왕에게 조공을 보내 도움을 청합니다.
  • 예배의 변질(10-18절): 아하스는 앗수르 왕을 만나러 다메섹에 가서 이방 제단을 본 뒤, 그 양식을 본떠 예루살렘에 제단을 만들라 명합니다. 이는 성전의 기존 예배 질서가 변경되는 심각한 변질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 아하스의 죽음(19-20절): 나머지 행적은 유다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고, 그의 아들 히스기야가 뒤를 이으면서 장이 마무리됩니다.

전체적인 의미와 교훈

아하스 왕의 행적은 신앙의 타락과 그로 인한 정치적, 종교적 혼란을 보여줍니다. 위기를 만났을 때 하나님을 신뢰하기보다는 강대국의 힘에 의존한 모습, 그리고 외형적인 성공을 좇아 신앙의 본질을 잃는 과정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깊은 교훈을 줍니다. 신앙의 형식과 본질, 그리고 진정한 의지의 대상을 점검하게 합니다.

묵상포인트

  • 신앙의 위기에서 우리는 어디에 의지하는가?
  • 작은 타협이 신앙 전반의 왜곡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계하게 됩니다.
  • 하나님께서 맡기신 예배와 삶의 본질을 다시 점검해 보는 계기가 됩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삶의 위기를 만났을 때 내가 가장 먼저 찾는 대상은 누구인가를 점검해봅니다.
  • 외형이나 관습에 매이기 보다, 신앙의 본질을 지키는 삶을 결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 변화의 흐름 속에서도 하나님과의 관계를 굳게 지키는 태도를 기도하게 됩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