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기하 15장

역대기하 15장은 남유다 왕국의 아사 왕 시기를 중심으로, 아사의 종교 개혁과 하나님의 언약적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다룹니다. 장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하나님의 영이 임한 아사랴 선지자가 아사 왕과 백성에게 하나님의 뜻을 전합니다(1-7절). 둘째, 아사 왕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우상 숭배를 근절하고 영적 개혁을 실행합니다(8-15절). 셋째, 외부의 영향을 받는 가족(어머니 마아가)의 우상까지 폐위시키는 단호함이 드러납니다(16-18절). 마지막으로, 아사의 통치 기간과 그 평안함에 대해 언급하며 마무리됩니다(19절).
1절하나님의 신이 오뎃의 아들 아사랴에게 임하시매
2절저가 나가서 아사를 맞아 이르되 아사와 및 유다와 베냐민의 무리들아 내 말을 들으라 너희가 여호와와 함께 하면 여호와께서 너희와 함께 하실지라 너희가 만일 저를 찾으면 저가 너희의 만난 바 되시려니와 너희가 만일 저를 버리면 저도 너희를 버리시리라
3절이스라엘에는 참 신이 없고 가르치는 제사장도 없고 율법도 없은 지가 이제 오래였으나
4절그 환난 때에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께 돌아가서 찾으매 저가 그들의 만난 바가 되셨나니
5절그 때에 열국에 거한 모든 백성이 크게 요란하여 사람의 출입이 평안치 못하며
6절이 나라가 저 나라와 서로 치고 이 성읍이 저 성읍과 또한 그러하여 피차 상한 바 되었나니 이는 하나님이 모든 고난으로 요란케 하셨음이니라
7절그런즉 너희는 강하게 하라 손이 약하지 않게 하라 너희 행위에는 상급이 있음이니라
8절아사가 이 말 곧 선지자 오뎃의 예언을 듣고 마음을 강하게 하여 가증한 물건을 유다와 베냐민 온 땅에서 제하고 또 에브라임 산지에서 빼앗은 성읍들에서 제하고 또 여호와의 낭실 앞 여호와의 단을 중수하고
9절또 유다와 베냐민의 무리를 모으고 에브라임과 므낫세와 시므온 가운데서 나와서 저희 중에 우거하는 자를 모았으니 이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아사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와 함께 하심을 보고 아사에게로 돌아오는 자가 많았음이더라
10절아사 왕 십오년 삼월에 저희가 예루살렘에 모이고
11절그 날에 노략하여 온 물건 중에서 소 칠백과 양 칠천으로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고
12절또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여 열조의 하나님 여호와를 찾기로 언약하고
13절무릇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찾지 아니하는 자는 대소 남녀를 무론하고 죽이는 것이 마땅하다 하고
14절무리가 큰 소리로 부르며 피리와 나팔을 불어 여호와께 맹세하매
15절온 유다가 이 맹세를 기뻐한지라 무리가 마음을 다하여 맹세하고 뜻을 다하여 여호와를 찾았으므로 여호와께서도 저희의 만난 바가 되시고 그 사방에 평안을 주셨더라
16절아사 왕의 모친 마아가가 아세라의 가증한 목상을 만들었으므로 아사가 그 태후의 위를 폐하고 그 우상을 찍고 빻아 기드론 시냇가에서 불살랐으니
17절산당은 이스라엘 중에서 제하지 아니하였으나 아사의 마음이 일평생 온전하였더라
18절저가 또 그 부친의 구별한 물건과 자기의 구별한 물건 곧 은과 금과 기명들을 하나님의 전에 드렸더니
19절이 때부터 아사 왕 삼십오년까지 다시는 전쟁이 없으니라
주요 내용 해설
- 아사랴의 격려: 아사 왕은 이스라엘의 불신앙적 역사를 경계하라는 선지자 아사랴의 말을 듣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가까이 하면 하나님도 가까이 계시고, 하나님을 떠나면 하나님도 떠나셨다는 교훈이 강조됩니다.
- 영적 개혁: 아사는 우상을 제거하고, 하나님의 제단을 보수하며 온 유다 백성에게 하나님을 찾도록 독려합니다. 이는 단순한 정치적 조치가 아니라 유다 백성의 삶을 올바로 세우기 위한 근본적 변화였습니다.
- 언약의 갱신: 백성들은 하나님과 새로이 언약을 맺고, 힘써 여호와를 찾기로 다짐합니다. 마음을 다해 하나님께 올바로 나아가기를 결단한 모습이 부각됩니다.
- 가정 내 우상 척결: 아사는 심지어 자신의 어머니가 만든 우상을 철저히 배격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개혁의 의지가 가정 안에서도 예외 없이 적용됨을 보여줍니다.
묵상포인트
- 하나님의 말씀을 들은 후 순종하는 모습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외적인 변화뿐 아니라 내면과 가정의 영역까지도 하나님의 뜻을 따라 정화시키려는 용기가 필요함을 배울 수 있습니다.
- 공동체가 한마음으로 하나님 앞에 서기로 결단하고, 약속을 새롭게 하는 모습에서 신앙 공동체의 연합과 결단의 가치를 묵상할 수 있습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내 삶에 아직 남아 있는 고집이나 습관, 잘못된 가치관은 무엇이 있는지 점검해보고, 하나님 앞에 내려놓을 부분이 무엇인지 돌아볼 수 있습니다.
- 신앙의 결단이 일시적 감동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삶과 가정, 관계 속에서 실천되는 변화를 추구할 수 있을지 생각해봅시다.
- 공동체 속에서 말씀에 순종하여 하나님의 뜻을 함께 이루어가는 노력을 나도 하고 있는지 되묻고, 다시금 결단할 수 있습니다.
[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