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역대기상 3장

말씀 개요

역대기상 3장은 다윗 왕의 자손들과 그의 가계(家系)에 관한 족보 기록입니다. 앞선 2장에 이어 다윗 왕을 중심으로 한 이스라엘의 왕권 계승이 어떻게 이어져 왔는지, 그리고 바벨론 포로 시기 이후까지의 계보를 간략히 전해줍니다. 이 장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다윗 왕이 헤브론과 예루살렘에서 낳은 자녀들(1-9절), 둘째, 솔로몬 이후의 왕위 계승자들(10-16절), 셋째, 바벨론 포로 이후 다윗 집안의 후손들(17-24절)입니다. 이렇게 계보가 이어지는 과정은 이스라엘 공동체가 역사적으로 하나님의 약속과 언약에 따라 이끌려 왔음을 암시합니다.

1다윗이 헤브론에서 낳은 아들들이 이러하니 맏아들은 암논이라 이스르엘 여인 아히노암의 소생이요 둘째는 다니엘이라 갈멜 여인 아비가일의 소생이요

2셋째는 압살롬이라 그술 왕 달매의 딸 마아가의 아들이요 넷째는 아도니야라 학깃의 아들이요

3다섯째는 스바댜라 아비달의 소생이요 여섯째는 이드르암이라 다윗의 아내 에글라의 소생이니

4이 여섯은 다윗이 헤브론에서 낳은 자라 다윗이 거기서 칠 년 육 개월을 치리하였고 또 예루살렘에서 삼십삼 년을 치리하였으며

5예루살렘에서 낳은 아들들은 이러하니 시므아와 소밥과 나단과 솔로몬 네 사람은 다 암미엘의 딸 밧수아의 소생이요

6또 입할과 엘리사마와 엘리벨렛과

7노가와 네벡과 야비야와

8엘리사마와 엘랴다와 엘리벨렛 아홉 사람은

9다 다윗의 아들이요 저희의 누이는 다말이며 이 외에 또 첩의 아들이 있었더라

10솔로몬의 아들은 르호보암이요 그 아들은 아비야요 그 아들은 아사요 그 아들은 여호사밧이요

11그 아들은 요람이요 그 아들은 아하시야요 그 아들은 요아스요

12그 아들은 아마샤요 그 아들은 아사랴요 그 아들은 요담이요

13그 아들은 아하스요 그 아들은 히스기야요 그 아들은 므낫세요

14그 아들은 아몬이요 그 아들은 요시야며

15요시야의 아들들은 맏아들 요하난과 둘째 여호야김과 셋째 시드기야와 넷째 살룸이요

16여호야김의 아들들은 그 아들 여고냐, 그 아들 시드기야요

17사로잡혀 간 여고냐의 아들들은 그 아들 스알디엘과

18말기람과 브다야와 세낫살과 여가먀와 호사마와 느다뱌요

19브다야의 아들들은 스룹바벨과 시므이요 스룹바벨의 아들은 므술람과 하나냐와 그 매제 슬로밋과

20또 하수바와 오헬과 베레갸와 하사댜와 유삽헤셋 다섯 사람이요

21하나냐의 아들은 블라댜와 여사야요 또 르바야의 아들 아르난의 아들들, 오바댜의 아들들, 스가냐의 아들들이니

22스가냐의 아들은 스마야요 스마야의 아들들은 핫두스와 이갈과 바리야와 느아랴와 사밧 여섯 사람이요

23느아랴의 아들은 에료에내와 히스기야와 아스리감 세 사람이요

24에료에내의 아들들은 호다위야와 엘리아십과 블라야와 악굽과 요하난과 들라야와 아나니 일곱 사람이더라

본문 주제의 의미와 상징

이 장은 수많은 이름들의 나열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러한 계보의 기록은 공동체의 역사적 연속성과 정체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별히 다윗 왕조의 계보를 자세히 다루는 이유는, 하나님의 언약(사무엘하 7장)이 다윗의 후손을 통해 성취될 것이라는 신학적 배경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또, 바벨론 포로기 이후까지 계보가 이어지는 것은 포로된 중에도 하나님의 약속은 사라지지 않았음을 독자에게 상기시켜 줍니다.

3장에 등장하는 이름과 계보의 의의

  • 다윗의 여러 아들들: 1-9절에서 다윗 왕의 여러 자녀가 기록됩니다. 여러 아내와 첩에게서 여러 자녀들이 태어났음이 나타나지만, '왕권 계승'과는 별도로 모두 기록된 점이 눈에 띕니다.
  • 솔로몬과 왕위 계승: 솔로몬이 후계자로 강조되어 등장하며, 이어 북이스라엘과 남유다로 분열된 이후에도 다윗-솔로몬 혈통이 남유다 왕권의 정통성을 뒷받침합니다.
  • 포로기 이후의 후손: 놀랍게도 기록은 유다 왕국의 멸망 이후에도 다윗의 후손 일부가 이어짐을 보이며, 희망의 끈을 잇는 것처럼 보입니다.

묵상포인트

  • 하나님께서 한 사람(다윗)과 맺은 약속이 시대를 넘어 이루어진다는 것에 주목해봅시다.
  • 이름 하나하나가 기록된 것에서 공동체의 각 구성원, 개인의 존재가 하나님 앞에 소중함을 다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나에게 적용해보기

  • 내 삶에도 하나님께서 보이지 않게 이어가시는 섭리와 약속이 있음을 신뢰해봅시다.
  • 내가 속한 가정과 공동체, 역사 안에서 나의 역할과 정체성을 하나님 앞에서 다시 발견할 필요가 있습니다.

[ 광고 ]